[산수화기자단 뉴스파노라마] 경기도의 사회적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일자리 안정화와 신규 일자리 창출에 대한 방안에 대한 공론화의 장이 열렸다.

경기도는 6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도민과 소통을 강화하고 숙의민주주의를 확대하기 위해 ‘제1회 경기도민 정책축제-나의 경기도’를 개최했다.

이날 메인행사인 나의목소리 '정책토론회'에선 '경기도 사회적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현장 토론회'가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 사회적일자리 단체의 연대 및 협력을 통한 사회적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내 취약계층 생산품 및 서비스 상호거래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일자리 안정화와 연대와 협력을 통한 신규일자리 모델을 창출하고자 하는 취지이다.

본격적인 토론에 앞서 고은정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의원은 축사에서 "일자리의 문제는 취약 계층뿐 만 아니라 모든 이들의 가장 큰 화두인 것 같다. 결국은 개개인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연결 된다"라며 "그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부분이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인 일자리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때 취약계층의 행복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데 그것에 대해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위원들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라며 "오늘 토론회를 통해서 제안되는 많은 의견들을 잘 경청해서 토론회로 그치지 않고 경기도 정책에 반영 하겠다"고 강조했다.

강홍배 경기자활센터 사무국장은 기조발제에서 경기도 취약계층 생산품 및 서비스 상호거래 의미와 과제를 발표했다.

그는 "상호거래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원인으로 '당사자 간 이해관계 및 역량차이(품질, 가격, 납품, 물량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품질, 가격에 대한 경쟁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사회복지 시설 및 단체에서 사회적일자를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생산품과 서비스의 생존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생존가능성을 높이는 여러가지 방안 중 공공시장 영역도 있지만 우선 상호거래를 통한 내재된 시장을 튼튼하게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후 본격적인 토론에서 이동희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사회적경제지원실장은 "경기도 사회적 경제조직이 현재 약 3,400개 정도 있다"며 "이들의 문제는 판로가 확보가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산수화기자단 공동취재 기사입니다. 산수화기자단 회원사는 경기타임스, 경인데일리, 경인투데이, 뉴스Q, 뉴스파노라마, 투데이경제 입니다.

저작권자 © 뉴스파노라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