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20%대를 기록하는 등 국정동력 저하의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박 대통령이 연일 민생현장을 방문해 대국민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우문현답,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을 한 이후의 행보이다. 이런 행보가 과연, 지지율을 반등시킬 위기돌파의 카드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평가인 지지율은 국민들의 인적 쇄신에 대한 요구를 청와대가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빠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 연말정산 논란이후 나타난 문제는 '정책의 문제'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정부의 '운영문제'로 옮아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건보료 인상에 대해서 보건복지부가 발표를 하루 앞두고 철회를 했고, 또 자동차세, 주민세라든지 인상방침을 밝혔다가 또 반나절 만에 다시 철회를 한 것을 보면 정부의 정책 자체가 왔다 갔다 한다고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기본적으로 하락추세 그리고 L자형의 추세, 이런 것들이 변화하려면 뭔가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이런 상황에 어떻게 하면 지지율이 오를 수 있을까?


우선 지금 국민들이 원하는 건 '인적 쇄신을 뚜렷하게 눈에 보이게 해라'다. 예를 들어 지난번 이완구 총리 내정자로 내정을 했지만 그 내정한 이후에도 지지율이 떨어졌다는 건 청와대 김기춘 비서실장이라든지 3인방에 대해서 그대로 신임을 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는 하루빨리 당청 관계, 당과 정부 관계가  정상화가 되는 것만이 지지율을 높일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이 설명이다. 새누리당의 김무성 대표가 정부의 1%대 주택대출에 대해서 반대의사를 밝힌바와 같이 최근 당과 정부가 정책문제로 계속 충돌을 하면서 갈등을 겪고 있다. 만약 당청 간에 또 당과 정부 간의 관계가 원활하지 않는다면 지지도는 고착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세 번째는 이제는 뭔가 정면승부를 해야 될 때가 됐다. 예를 들어 정책이라든지 뭔가 손에 잡히는 결과로써 정면승부를 해야 된다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박 대통령이 아무리 단단한 지지층을 갖고 있다곤 하지만, 이제는 자체 동력의 효과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왜냐하면 지지율이 기존 고정 지지층까지 내려왔고, 이제는 뭔가 단순히 이벤트라든지 이미지로 해서는 지지도가 상승할 수 있는 가능성은 적다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집권 3년차기 때문에 이제 사람들은 어느 정도 워밍업을 했으니까 이제 뭔가 내 손에 잡히는결과물을 내주라고 요구하고 있다. 특히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돼야 된다. 경제가 어쨌건 좋아지면 지지율도 올라가는 모멘텀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저작권자 © 뉴스파노라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